맨위로가기

노르망디 공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망디 공국은 911년 프랑스 왕 샤를 3세가 노르만족 롤로에게 센 강 하류 지역을 할양하여 성립되었다. 1066년 윌리엄 1세가 잉글랜드를 정복하면서 노르만 왕조가 시작되었고, 이후 노르망디는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서 복잡한 관계를 겪었다. 1204년 프랑스에 편입되었으며, 현재는 채널 제도가 영국 왕실령으로 남아있다. 영국 군주는 비공식적으로 노르망디 공작으로 불리며, 채널 제도의 영주로 통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망디 공국 - 루앙 백국
  • 노르망디 공국 - 백선 침몰사고
    백선 침몰사고는 1120년 영국 해협에서 발생한 참사로, 헨리 1세의 후계자 사망으로 잉글랜드의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으며, 문학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했다.
  • 노르망디의 역사 - 디에프 기습
    디에프 기습은 1942년 8월 19일 영국군과 캐나다군이 프랑스 디에프에 감행한 상륙 작전이며, 독일군의 강력한 방어와 정보 부족으로 인해 실패하여 연합군이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었다.
  • 노르망디의 역사 - 카롤루스 3세 심플렉스
    카롤루스 3세 심플렉스는 10세기 초 서프랑크 왕국의 왕으로,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과 바이킹의 침략 속에서 통치했으며, 왕위 계승의 어려움, 외드 드 파리의 반대, 그리고 노르망디를 롤로에게 할양한 생클레르쉬레프트 조약 체결 후 반란으로 투옥되어 사망했다.
  • 프랑스의 프로뱅스 - 부르고뉴 공국
    부르고뉴 공국은 14세기부터 15세기까지 존재했던 서유럽의 강력한 정치 세력으로,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이 통치하며 플랑드르와 네덜란드 등 광대한 지역을 지배했으나 부르고뉴 전쟁 패배로 멸망하고 프랑스와 합스부르크 가문에 분할되었다.
  • 프랑스의 프로뱅스 - 뮐루즈
    뮐루즈는 프랑스 알자스 지역의 역사적인 산업 도시로, 한때 "프랑스의 맨체스터"라 불리며 번영했고,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문화유산을 가진 도시로 푸조 자동차 공장, 박물관, 발달된 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노르망디 공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노르망디의 문장기
노르망디의 문장기
공식 명칭노르만어: Duchie de Normaundie
라틴어: Ducatus Normanniae
일반 명칭노르망디 공국
시대중세
지위서프랑크의 봉신국(911–987)
프랑스 왕국의 봉신국 (987–1204)
정부 형태봉건제 군주국
수도루앙
통화데니에(루앙 페니)
공용어고대 프랑스어(10세기~11세기 중반)
고대 노르드어(11세기 중반까지)
고대 노르만어(11세기 중반부터)
중세 라틴어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노르드 종교
데모님노르만인
지도
프랑스 북서부와 채널 제도에 있는 노르망디의 역사적 경계 지도
노르망디의 역사적 경계 지도
역사
시작 사건생클레르쉬르에프트 조약 (911년)
주요 사건 1노르만 잉글랜드 정복(1066년)
주요 사건 2조프루아 5세가 노르망디 공국 정복 (1144년)
종료 사건프랑스 필리프 2세에 의해 대륙 노르망디가 정복됨 (1204년)
역대 통치자
직함노르망디 공작
초대 공작롤로(911–927)
주요 공작 1윌리엄 1세(1035–1087)
주요 공작 2조프루아 5세(1144–1150)
마지막 공작존 왕(1199–1204)
현재 국가

2. 역사

9세기 전반 프랑스노르만인의 침입과 약탈로 큰 피해를 입었다. 845년에는 파리가 점령되기도 했다. 당시 분열되어 있던 프랑스의 왕들은 노르만인과 맞서 싸우기는커녕, 내전에 용병으로 활용하여 침입을 더욱 용이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9세기 후반부터 노르만 수장들은 프랑크의 봉토를 받는 가신이 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랑스 왕 샤를 3세는 회유책으로 911년 노르만 추장 롤로에게 센강 하류 지대를 양도하고 노르망디 공(公)에 봉했다. 많은 노르만인이 이 지역으로 이주하여 영지를 확장하고, 특수 지역을 만들어 실질적인 독립국을 세웠다. 그 후 앙주 가(家)에 반대하여 카페 왕가를 원조함으로써 강대해졌다.

thumb에 있는 공국의 창시자 롤로의 동상. 그의 후손인 잉글랜드 왕 윌리엄 1세는 이곳에서 태어났다.]]

1066년, 노르망디 공작 윌리엄 1세는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해럴드 2세를 격파하고 잉글랜드를 정복하여 노르만 왕조를 열었다. 그의 사후, 장남 로베르가 노르망디 공작이 되고, 차남 윌리엄이 영국 왕이 되어 양 지역은 분리되었으나, 헨리 1세 때 다시 병합되었다. 1106년 이후 약 1세기 동안 노르망디는 잉글랜드 영토였다가 1204년 프랑스 왕 필리프 2세루앙을 공략하여, 1259년 루이 9세 때 프랑스 왕국에 정식으로 편입되었다.

원래 네우스트리아 구역의 북부에서 성립되었으며 센 강의 루앙을 중심으로 했지만, 이후 정복 활동을 통해 에브뢰알랑송을 포함한 남부와 브르타뉴 반도 서부로 확대되어 오늘날의 프랑스 노르망디 지역 및 영국 왕실령인 채널 제도와 거의 일치하게 되었다.

채널 제도는 노르망디 공국의 영역을 포함한다.


1465년 루이 11세공익 동맹에 의해 동생 샤를에게 공국을 부양으로 양도해야 했다. 이는 샤를이 적대 세력의 꼭두각시가 되는 것을 의미했기에, 루이 11세는 샤를과 노르망디를 기옌(아키텐) 공작령과 교환했다. 1469년 공작 내 당파가 분쇄되면서 노르망디는 최종적으로 양도되지 않게 되었고, 이는 대륙 측 공국의 결정적인 종말이었다.

과거 노르망디 공국의 주요 지역은 모두 프랑스의 일부가 되었으며, 현재 공국을 이루는 곳은 영국 군주의 왕실령인 저지 섬과 건지 섬의 채널 제도령뿐이다. 현재 영국 군주가 노르망디 공작의 칭호를 사용하고 있다.

2. 1. 바이킹의 침입과 정착

9세기 전반 프랑스노르만인의 침입과 약탈로 큰 피해를 입었다. 845년에는 파리가 점령되기도 했다. 동프랑크와 북프랑스는 주로 덴마크인에게, 남프랑스와 에스파냐, 지중해노르웨이인에게 습격당했다. 당시 분열되어 있던 프랑스의 왕들은 노르만인과 단결하여 싸우지 않고, 오히려 내전에 용병으로 이용하여 침입을 더욱 쉽게 만들었다. 하지만 9세기 후반부터 노르만인의 수장들은 프랑크의 봉토를 받는 가신이 되는 경향이 강해졌다.[2]

이러한 상황에서 프랑스 왕 샤를 3세는 노르만인의 침입을 막기 위한 회유책으로 911년 노르만 추장 롤로에게 센강 하류 지역을 양도하고 노르망디 공(公)에 봉했다. 이 조약이 생클레르쉬르엡트 조약이다. 많은 노르만인이 이 지역으로 이주하여 영지를 확장하고, 실질적인 독립국을 세웠다. 롤로는 이 영토를 다른 바이킹으로부터 방어하고, 자신과 부하들이 기독교로 개종할 것에 동의했다.[2] 롤로가 개종하고 프랑크족과 타협한 것은 911년 초 샤르트르 공방전에서 부르고뉴의 리샤르와 노스트리아의 로베르(훗날 프랑스 국왕 로베르 1세)에게 패배한 이후였다.[3]

롤로에게 할양된 영토는 코의 파구스, 에브레생, 루무아, 탈루였으며, 이곳은 과거 루앙 백작령으로 알려졌고, 훗날 상 노르망디가 될 지역이었다. 918년의 왕실 외교 문서에는 "I grant"라는 의미의 동사 ''adnuo''를 사용하여 911년의 기증을 확인했다. 롤로가 자신의 영토에 대해 왕에게 어떠한 봉사나 맹세를 했다는 증거도 없고, 왕이 이를 회수할 수 있는 법적 수단이 있었다는 증거도 없다. 즉, 영토는 완전히 할양되었다.[2] 마찬가지로 롤로는 백작으로 임명되거나 백작 권한을 부여받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이후 사가에서는 그를 ''Rúðujarl''(루앙의 백작)이라고 언급한다.[4]

thumb에 있는 공국의 창시자 롤로의 동상. 그의 후손인 잉글랜드 왕 윌리엄 1세는 이곳에서 태어났다.]]

2. 2. 노르망디 공국의 성립과 발전

9세기 전반 프랑스노르만인의 침입과 약탈로 큰 피해를 입었다. 845년에는 파리가 점령되기도 했다. 당시 분열되어 있던 프랑스의 왕들은 노르만인과 맞서 싸우기는커녕, 내전에 용병으로 활용하여 침입을 더욱 용이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9세기 후반부터 노르만 수장들은 프랑크의 봉토를 받는 가신이 되는 경향을 보였다.[2]

이러한 상황에서 프랑스 왕 샤를 3세는 회유책으로 911년 노르만 추장 롤로에게 센강 하류 지대를 양도하고 노르망디 공(公)에 봉했다. 롤로는 생클레르쉬르엡트 조약을 통해 덴마크의 통제하에 있던 센 강 하류의 일부 영토를 할양받았다. 이 영토는 의 파구스, 에브레생, 루무아, 탈루였으며, 과거 루앙 백작령으로 알려졌고, 훗날 상 노르망디가 되었다. 롤로는 이 영토를 다른 바이킹으로부터 방어하고, 자신과 부하들이 기독교로 개종할 것에 동의했다.[2] 롤로가 개종하고 프랑크족과 타협한 것은 911년 초 샤르트르 공방전에서 부르고뉴의 리샤르와 노스트리아의 로베르(훗날 프랑스 국왕 로베르 1세)에게 패배한 이후였다.[3]

롤로에게 할양된 영토는 완전히 롤로의 소유가 되었으며, 왕이 이를 회수할 법적 수단은 없었다.[2] 롤로는 백작으로 임명되거나 백작 권한을 부여받지 않았지만, 이후 사가에서는 그를 ''Rúðujarl''(루앙의 백작)이라고 언급한다.[4]

롤로를 시작으로 노르망디는 오랫동안 바이킹 왕조에 의해 통치되었다. 롤로의 후계자인 장검 윌리엄은 영토를 확장했지만, 942년에 암살당한 플랑드르의 아르눌프와 갈등을 겪었다.[8] 이로 인해 노르망디에 위기가 닥쳤고, 리처드 1세가 미성년의 나이로 즉위했으며, 노르망디에서 노르드 이교도교가 일시적으로 부활했다.[9]

924년, 라돌프는 롤로의 영지를 서쪽으로 비르 강까지 확장하여, 베생 지역을 포함시켰다. 933년, 라돌프 왕은 아브랑생과 코탕탱을 롤로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장검 윌리엄에게 양도했다. 이 지역은 이전에는 브르타뉴의 통치를 받았다. 북부 코탕탱에는 아일랜드해 지역에서 온 노르웨이인들이 정착했다. 이러한 확장을 통해 노르망디의 경계는 대략 루앙 교구의 경계와 일치하게 되었다.[2]

리처드 1세의 아들인 리처드 2세는 처음으로 노르망디의 "공작"이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공작 칭호는 987년에서 1006년 사이에 확립되었다.[10] 노르만 공작들은 980년부터 1050년 사이에 서유럽에서 가장 강력하고 통합된 공작령을 만들었다.[11] 이들은 교회 봉토에 막대한 봉건적 부담을 부과하여 무장 기사들을 확보하고, 세속 귀족에게도 봉신 관계를 강요했다.[11]

2. 3. 노르만 왕조의 잉글랜드 정복

1066년, 노르망디 공작 윌리엄 1세는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잉글랜드해럴드 2세를 격파하고 잉글랜드의 왕이 되었다. 이를 노르만 정복이라고 한다.[14] 이로 인해 앵글로-노르만과 프랑스 관계는 복잡해졌다. 노르망디 공작은 프랑스 왕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봉신으로서 노르망디를 다스렸지만, 잉글랜드 왕으로서는 프랑스 왕과 대등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이다. 1106년 이후 약 1세기 동안 노르망디는 잉글랜드 영토가 되었다.

2. 4. 앙주 제국과 노르망디

1066년 노르망디 공작 윌리엄이 영국을 정복하여 노르만 왕조를 열었다. 그의 사후, 장남 로베르가 노르망디 공작이 되고, 차남 윌리엄이 영국 왕이 되어 양 지역은 분리되었으나, 헨리 1세 때 다시 병합되었다. 1106년부터 약 1세기 동안 노르망디는 영국 영토가 되었다. 그러나 1204년 프랑스 왕 필리프 2세루앙을 공략하였고, 1259년 루이 9세프랑스 왕국에 정식으로 편입되었다.

2. 5. 프랑스 왕령 편입

1204년 프랑스 왕 필리프 2세루앙을 공략하여 노르망디를 정복했고, 1259년 루이 9세 때 프랑스 왕국에 정식으로 편입되었다.[20] 1259년의 파리 조약으로 잉글랜드는 노르망디에 대한 권리를 포기했다.

노르망디는 왕실 영지에 포함되었지만, 그 특수성은 유지되었다. 노르만 법은 재판 결정의 기초로 계속 사용되었다. 1315년, 노르망디의 자유에 대한 왕실 권력의 침해에 직면한 남작들과 도시들은 노르만 헌장을 왕에게 강요했다. 이 문서는 노르망디에 자율성을 제공하지는 않았지만, 임의적인 왕실의 행위에 대해 보호했다. 노르망디의 주요 법원인 재무원의 판결은 최종적인 것으로 선언되었는데, 이는 파리가 루앙의 판결을 뒤집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했다.[20] 또 다른 중요한 양보는 프랑스 국왕이 노르만인의 동의 없이 새로운 세금을 부과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왕권이 흔들릴 때 부여된 헌장은 그 후 군주제가 권력을 되찾았을 때 여러 번 위반되었다.[21]

노르망디 공국은 주로 공작의 간헐적인 임명을 통해 존속되었다. 프랑스 국왕은 때때로 왕국의 그 부분을 자신의 가족 중 가까운 사람에게 주었고, 그 사람은 왕에게 경의를 표했다. 필리프 6세는 그의 장남이자 왕위 계승자인 장 2세를 노르망디 공작으로 만들었다. 장 2세는 그의 계승자인 샤를 5세를 임명했다.[22]

1465년, 루이 11세공익 동맹에 의해 그의 18세 된 동생인 샤를 드 발루아에게 공국을 양도해야 했다.[23] 이 양보는 샤를이 국왕의 적들의 꼭두각시였기 때문에 국왕에게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노르망디는 왕권에 대한 반란의 근거가 될 수 있었다. 1469년에 루이 11세는 강압 하에 그의 동생을 설득하여 노르망디를 기옌 공작(아키텐)과 교환하게 했다.[24] 마지막으로, 굴복한 노르망디 신분회의 요청에 따라, 공국이 다시 양도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기 위해, 1469년 11월 9일 노르만 재무원 회의에서 공작의 반지를 모루에 놓고 부쉈다.[25]

도팽 루이 샤를, 루이 16세의 차남은 1789년 형의 죽음 전에 다시 '노르망디 공작'이라는 명목상의 칭호를 받았다.[26]

2. 6. 근세 이후 노르망디



노르망디 공국은 행정상 저지 (저지 제도와 Minquiers|멩키에영어 및 Écréhous|에크레우영어의 무인도로 구성)와 건지 (건지 섬, 사크 섬, 올더니 섬, 브레호 섬, 험 섬, 제수 섬 및 Lihou|리후 섬영어으로 구성)의 두 대관 관할구(bailiwick)로 구성된 채널 제도로 남아있다. 현재 영국 국왕 찰스 3세가 노르망디 공작의 계승자로서 이 지역의 영주로 있으며, "노르망디 공작"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채널 제도는 연합 왕국의 일부는 아니지만, 왕실 속령의 일부이다.[36][37]

3. 영토

911년 생클레르쉬르엡트 조약을 통해 서프랑크의 왕 샤를 3세는 바이킹 지도자 롤로에게 센 강 하류의 일부 영토를 할양했다. 이 영토는 의 파구스, 에브레생, 루무아, 탈루였으며, 과거 루앙 백작령으로 알려졌고, 이후 상 노르망디가 되었다. 롤로는 이 영토를 다른 바이킹으로부터 방어하고, 기독교로 개종할 것에 동의했다.[2] 롤로가 개종하고 프랑크족과 타협한 것은 샤르트르 공방전에서 패배한 이후였다.[3]

롤로에게 할양된 영토는 완전히 할양된 것이었으며, 롤로는 백작으로 임명되거나 백작 권한을 부여받지 않았지만, 이후 사가에서는 그를 ''Rúðujarl''(루앙의 백작)이라고 언급한다.[4]

thumb의 동상. 정복왕 윌리엄의 출생지인 팔레즈에 있다.]]

노르망디에는 두 가지 뚜렷한 형태의 노르만 정착이 있었다. 루무아와 코의 덴마크 지역에서는 정착민들이 토착 갈로-로망스어 사용 인구와 섞여 농사를 지었다. 반면에 북부의 코탕탱 반도에서는 인구가 순수하게 노르웨이인이었고, 해안 지형은 노르만 이름을 따랐다.[2]

924년, 라돌프는 롤로의 영지를 서쪽으로 비르 강까지 확장하여 베생 지역을 포함시켰다. 933년, 라돌프 왕은 아브랑생과 코탕탱을 롤로의 아들 장검 윌리엄에게 양도했다. 이 지역은 이전에는 브르타뉴의 통치를 받았다. 북부 코탕탱에는 아일랜드해 지역에서 온 노르웨이인들이 정착했다. 이러한 확장을 통해 노르망디의 경계는 대략 루앙 교구의 경계와 일치하게 되었다.[2]

1066년, 윌리엄 공작은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잉글랜드의 해럴드 2세를 격파하고 잉글랜드의 왕으로 즉위했다. 앵글로-노르만과 프랑스 관계는 노르만 정복 이후 복잡해졌다. 노르만 공작들은 프랑스 왕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봉신으로서 노르망디에 있는 자신의 영토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지만, 잉글랜드의 왕으로서 그의 동등한 위치에 있었다.[14]

1154년부터 1214년까지, 앙주 제국의 창설과 함께, 잉글랜드의 앙주 왕들은 프랑스의 절반과 잉글랜드 전체를 통치하여 프랑스 왕의 권력을 능가했지만, 앙주 왕들은 여전히 "사실상" 프랑스 봉신이었다.[16]

공작령은 필리프 2세1204년에 공작령의 대륙 영토를 정복하여 왕실 영지가 될 때까지 앙주 제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17] 잉글랜드 군주들은 파리 조약 (1259년)까지 이를 계속 주장했지만, 실제로 채널 제도만 유지했다.[18]

원래는 네우스트리아 구역의 북부에서 성립되었으며 센 강의 루앙을 중심으로 했지만, 이후 정복 활동을 통해 에브뢰알랑송을 포함한 남부와 브르타뉴 반도 서부로 확대되었으며, 최종적으로는 오늘날의 프랑스의 노르망디 지역 및 현재도 영국 왕실령에 속하는 채널 제도와 거의 일치하게 되었다. 과거 노르망디 공국의 주요 지역은 모두 프랑스의 일부가 되었으며, 현재 공국을 이루는 곳은 영국 군주의 왕실령인 저지 섬과 건지 섬의 채널 제도령뿐이다. 현재 영국 군주가 노르망디 공작의 칭호를 사용하고 있다.

공국은 바이킹식민지화한 루앙 백작령, 및 Talou|한국어=탈루|프랑스어 (디에프 백작령)으로 형성되었다. 912년에 루앙에 수도가 수립되었고, 이후 공국의 확대와 함께 서쪽의 에 수도가 수립되었다.

928년에는 Campagne de Saint-André|한국어=생앙드레 평원|프랑스어 (에브뢰 백작령), Comté d'Hiémois|한국어=이에무아 백작령|프랑스어 및 Bessin|한국어=베생|프랑스어이 추가되었다.

931년부터 934년까지 롤로의 아들인 Guillaume Ier de Normandie|한국어=기욤 1세 드 노르망디|프랑스어 (장검 윌리엄)은 코탕탱 반도와 Avranchin|한국어=아브랑생|프랑스어을 병합했다. 채널 제도933년에 병합되었다.

4. 언어

노르망디로 이주한 사람들은 처음에는 고대 노르드어를 사용했지만, 공국 전체에 정착하면서 현지 주민들이 사용하던 갈로-로망스어를 채택했다. 노르망디에서는 사람들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새롭게 형성된 노르만어가 고대 노르드어에서 어휘를 계승했다.[5] 잉글랜드에서는 노르만어가 앵글로-노르만어로 발전했다. 공국 및 앵글로-노르만 왕령 시대의 잉글랜드 문학은 Anglo-Norman literature|앵글로-노르만 문학영어으로 알려져 있다.

5. 법과 제도

노르망디의 관습법에는 스칸디나비아 법의 흔적이 남아 있었는데, 이는 13세기에 처음 기록되었다.[20] 1050년의 헌장에는 윌리엄 2세 공작 앞에서 여러 소송을 나열하면서 추방 형벌을 ''울락''(고대 노르드어 ''útlagr''에서 유래)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이 단어는 12세기에 로망 드 루에 사용될 정도로 여전히 통용되었다.[33] 모레 다니코("덴마크 방식"으로), 즉 고대 노르드 관습에 따라 교회 의식 없이 이루어진 결혼은 노르망디와 노르만 교회에서 합법으로 인정되었다. 노르망디의 첫 세 공작 모두 이 방식을 따랐다.[2]

스칸디나비아의 영향은 특히 물과 관련된 법에서 두드러진다. 공작은 모든 난파선의 권리인 ''드루아 드 바레크''(고대 덴마크어 ''vrek''에서 유래)를 소유했다.[34] 그는 또한 고래와 철갑상어에 대한 독점권을 가지고 있었다. 유사한 독점권은 1241년의 윌란 법에서 덴마크 왕에게 속했다. 고래(돌고래 포함)와 철갑상어는 21세기에 영국에서 왕의 물고기로서 여전히 군주에게 속해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35] 고래잡이(''valmanni'', ''hvalmenn''에서 유래)와 고래잡이 기지(''valseta'', ''hvalmannasetr''에서 유래)에 대한 노르만 라틴어 용어는 모두 고대 노르드어에서 파생되었다. 마찬가지로 노르망디의 어업도 스칸디나비아의 규칙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1030년의 헌장은 "어장"을 의미하는 용어인 ''fisigardum''(고대 노르드어 ''fiskigarðr''에서 유래)을 사용했는데, 이는 c. 1210년의 스카니아 법에서도 발견된다.[2]

노르망디에는 ''히르드'' 또는 ''레이당르''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지만, 후자는 아마도 존재했을 것이다. 1263년에 처음 증명된 성씨인 Huscaille은 아마도 ''후스칼''에서 유래했을 것이지만, 10세기에 ''히르드''의 존재에 대한 늦은 증거이다.[2]

6. 통치자



롤로를 시작으로 노르망디는 오랫동안 존속된 바이킹 왕조에 의해 통치되었다. 사생아는 계승의 걸림돌이 되지 않았으며, 노르망디의 첫 6명의 통치자 중 3명은 첩의 사생아였다.[8] 롤로의 후계자인 장검 윌리엄은 자신의 영토를 확장하는 데 성공했으며, 942년에 암살당한 플랑드르의 아르눌프와 갈등을 겪었다.[9] 이로 인해 노르망디에 위기가 닥쳤고, 리처드 1세가 미성년의 나이로 즉위했으며, 노르망디에서 노르드 이교가 일시적으로 부활했다.[9] 리처드 1세의 아들인 리처드 2세가 처음으로 노르망디의 "공작"이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공작 칭호는 987년에서 1006년 사이에 확립되었다.[10]

1066년, 윌리엄 공작은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잉글랜드의 해럴드 2세를 격파하고 이후 잉글랜드의 왕으로 즉위했으며, 이는 노르만 정복을 통해 이루어졌다.[14] 앵글로-노르만과 프랑스 관계는 노르만 정복 이후 복잡해졌다. 노르만 공작들은 프랑스 왕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봉신으로서 노르망디에 있는 자신의 영토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지만, 잉글랜드의 왕으로서 그의 동등한 위치에 있었다.[16]

필리프 2세가 1204년에 공작령의 대륙 영토를 정복하여 왕실 영지가 될 때까지 1204년까지 앙주 제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17] 잉글랜드 군주들은 파리 조약 (1259년)까지 이를 계속 주장했지만, 실제로 채널 제도만 유지했다.[18]

다음은 프랑스 지방으로서 노르망디 시기의 원수(sénéchal de Normandie프랑스어)와 노르망디 지사(gouverneur de Normandie프랑스어)의 목록이다.[32]


  • 기욤 크레스팽 또는 뒤 베크-크레스팽, 베크와 모니의 영주
  • 1451년~1460년: 피에르 드 브레제, 라 바렌과 브리삭의 영주, 몰르비에르 백작
  • 1460년~1464년: 루이 데스투트빌
  • 1475년~1494년: 자크 드 브레제, 베크-크레스팽과 모니의 영주, 몰르비에르 백작
  • 1494년~1499년: 루이 드 브레제, 베크-크레스팽, 모니, 아네의 영주, 몰르비에르 백작

  • 1661년 5월 9일 – 1726년: 샤를 프랑수아 프레데리크 드 몽모렌시, 피니 공작
  • 1726년 – 1764년 5월 18일: 프랑스 원수 샤를 프랑수아 프레데리크 드 몽모렌시 2세, 피니 공작
  • 1764년 6월 15일 – 1775년: 프랑스 원수 안-피에르, 아르쿠르 공작
  • 1775년 9월 17일 – 1791년 1월 1일: 프랑수아 앙리, 아르쿠르 공작

7. 현대의 노르망디 공작

채널 제도에서 영국 군주는 남성 여부에 관계없이 비공식적으로 "노르망디 공작"으로 알려져 있다. (예: 이 칭호로 알려진 엘리자베스 2세)[27] 채널 제도는 이전 노르망디 공국의 마지막 남은 부분으로 영국 군주의 통치하에 있다.

도민들의 건배사에서 그들은 "노르망디 공작, 우리의 왕" 또는 "왕, 우리의 공작", 노르만어로는 "L'Rouai, nouotre Ducnrf" (L'Roué, note Dunrf (제르지어 및 건지어 각각)) 또는 표준 프랑스어로는 "Le Roi, notre Duc프랑스어"라고 말하며, 영국에서 관행처럼 단순히 "왕"이라고 하지 않는다.[28][29]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종종 노르망디 공작이라는 전통적이고 관습적인 칭호로 불린다. 하지만 그녀는 헌법적인 자격으로 공작이 아니며, 여왕으로서의 권리로 통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주주의자들이 상황을 다르게 취급하는 것은 지역적인 자부심의 문제이다. 공식 만찬에서 충성 건배는 영국의 "폐하, 여왕"이 아닌 "여왕, 우리의 공작"에게 하는 것이다.[29]

'노르망디 공작'이라는 칭호는 공식 정부 간행물에 사용되지 않으며, 채널 제도법상 존재하지 않는다.[30][29]

노르망디 공국은 행정상 저지 (저지 제도와 멩키에 및 에크레우의 무인도로 구성)와 건지 (건지 섬, 사크 섬, 올더니 섬, 브레호 섬, 험 섬, 제수 섬 및 리후 섬으로 구성)의 두 대관 관할구로 구성된 채널 제도로 남아있다. 현재 영국 국왕 찰스 3세가 노르망디 공작의 계승자로서 이 지역의 영주로 있으며, "노르망디 공작"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채널 제도는 연합 왕국의 일부는 아니지만, 왕실 속령의 일부이다.[36][37]

참조

[1] 웹사이트 The slow death of Channel Islands Norman https://www.theneweu[...] 2024-01-30
[2] 서적 The Duchy of Normandy Routledge 2008
[3] 서적 Richer of Saint-Rémi: The Methods and Mentality of a Tenth-Century Historian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13
[4] 학술지 ''Princeps, Comes, Dux Normannorum'': Early Rollonid Designators and Their Significance" 1997
[5] 학술지 Early Normandy https://www.academia[...] 2013-01
[6] 웹사이트 Scandinavian Origins through Christian Eyes: A Comparativ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Normans and the Russian Primary Chronicle https://repository.s[...] 2018-12-12
[7] 학술지 The politics of being Norman in the reign of Richard the Fearless, Duke of Normandy (r. 942–996) http://eprints.white[...] 2019-09-23
[8] 서적 A History of England Under the Norman Kings: Or, from the Battle of Hastings to the Accession of the House of Plantagenet: To Which Is Prefixed an Epitome of the Early History of Normandy https://books.google[...] John Russel Smith 2020-11-10
[9] 서적 The Capetians: Kings of France 987-1328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0-11-10
[10] 서적 Normans https://books.google[...] The History Press 2020-11-10
[11] 서적 The Civilization of the Middle Ages: A Completely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of Medieval History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1993
[12] 서적 Monastic Revival and Regional Identity in Early Normandy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2020-11-10
[13] 웹사이트 Olav Haraldsson – Olav the Stout – Olav the Saint http://www.viking.no[...] 2019-02-21
[14] 서적 1066: A New History of the Norman Conquest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Limited 2012
[15] 간행물 Sept essais sur des Aspects de la société et de l'économie dans la Normandie médiévale (Xe – XIIIe siècles) 1988
[16] 학술지 The Problem of Survival for the Angevin "Empire": Henry II's and His Sons' Vision versus Late Twelfth-Century Realities 1995-02-01
[17] 서적 A Companion to the Anglo-Norman World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2020-11-10
[18] 서적 The Loss of Normandy, 1189-1204: Studies in the History of the Angevin Empire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9
[19] 서적 The Government of Philip Augustus: Foundations of French Royal Power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9-08-15
[19] 웹사이트 Castles.nl - Joan of Arc Tower https://www.castles.[...] 2019-02-21
[20] 학술지 Magna Carta (1215) and the Charte aux Normands (1315): Some Anglo-Norman Connections and Correspondences https://www.jerseyla[...] 2019-02-21
[21] 서적 England and Normandy in the Middle Ages A&C Black 1994
[22]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6, C.1300-c.141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1-10
[22] 웹사이트 Normandy (Traditional province, France) https://www.crwflags[...] 2019-02-21
[23] 서적 Between Church and State: The Lives of Four French Prelates in the Lat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11-10
[23] 서적 The History of France: From the Final Partition of the Empire of Charlemagne, A.D. 843, to the Peace of Cambray, A.D. 1529 https://books.google[...] Baldwin 2020-11-10
[24] 서적 The History of the Life and Times of Cardinal Wolsey, Prime Minister to King Henry VIII, Vol. 1: I. Of His Birth, and the Various Steps He Took to Attain Preferment, Connected With Affairs, Both Foreign and Domestick, From the Death of Edward IV. To He End of the Reign of Henry VII https://books.google[...] J. Purser 2020-11-10
[25] 서적 History of France https://books.google[...] Whittaker and Co. 2020-11-10
[26] 학술지 Reviewed Works: ''Louis XVII.: sa Vie, son Agonie, sa Mort; Captivité de la Famille Royale au Temple; Ouvrage enrichi d'Autographes, de Portraits, et de Plans. 2 vols. 8vo'' by M. A. de Beauchesne; ''Filia Dolorosa : Memoirs of MARIE THÉRÈSE CHARLOTTE, Duchess of Angoulême, the Last of the Dauphines. 2 vols. 8vo'' by Mrs. Romer; ''An Abridged Account of the Misfortunes of the Dauphin, followed by some Documents in Support of the Facts related by the Prince; with a Supplement'' by C. G. Percival 1854-01
[27] 웹사이트 Crown Dependencies https://www.royal.uk[...] 2021-07-10
[28] 웹사이트 The Loyal Toast http://www.debretts.[...] 2016-01-25
[29] 서적 The Channel Islands
[30] 학술지 Lé Rouai, Nouot' Duc https://www.jerseyla[...] 1999
[31] 서적 The Queen: Elizabeth II and the Monarchy HarperCollins UK 2012
[32] 웹사이트 Provinces of France to 1791 https://www.worldsta[...] 2022-10-21
[33] 서적 Une amitié millénaire: les relations entre la France et la Suède à travers les âges https://books.google[...] Editions Beauchesne 2020-11-10
[34] 웹사이트 Varech coutume de Normandie {{!}} Varech en Manche{{!}} https://www.le-petit[...] 2019-02-21
[35] 뉴스 Palace prevails on a 'fish royal' supper: from the archive, 21 May 1980 https://www.theguard[...] 2019-02-21
[36] 웹사이트 Royal Insight October 2003 http://www.royal.gov[...] The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2008-07-23
[37] 웹사이트 Royal Insight January 2007 http://www.royal.gov[...] The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2008-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